수정된 난자의 수에 따라 이란성, 일란성으로 구분됩니다. 이 경우 일란성이라 하여 태아가 항상 완전히 똑 같은 것은 아니며, 이란성일지라도 일란성 보다 더 똑같을 수 있습니다. 쌍태임신 중 이란성이 2/3, 일란성이 1/3을 차지합니다.
하나의 난자가 수정된 수정란이 2개로 분할되는 시점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되는데, 수정 후 72시간 이내에 분할되는 경우, 수정 후 4~8일 사이에 분할되는 경우 , 8일 이후에 분할되는 경우 그리고 13일 이후에 분할되는 경우에 따라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이중 8일 이후에 분할되는 경우는 단일한 양막 내에 2태아가 공존하기 때문에 쌍태아 간의 수혈, 탯줄 엉킴 등의 위험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13일 이후에 분할되는 경우는 신체의 일부를 공유하는 기형이 생깁니다.
일란성 쌍태아의 빈도는 비교적 일정하여 250 출생 당 1명 꼴로 생기며, 이란성 쌍태아의 경우는 종족, 유전, 산모의 나이, 출산력 그리고, 배란유도치료 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1) 종족 - 백인은 100 출생 당 1명, 흑인은 80 출생 당 1명 그리고 일본인은 155 출생 당 1명 꼴로 생깁니다.
(2) 유전적 소인 - 모계측이 이란성 쌍태인 경우는 58 출생 당 1명, 부계가 이란성 쌍태인 경우는 116 임신 당 1명 꼴로 쌍태아가 생깁니다. 즉 모계측 유전자형이 더욱 중요합니다.
(3) 산모의 나이 및 출산력 - 40세 이상 그리고 분만력이 7회 이상인 경우 쌍태 임신의 빈도가 증가합니다.
(4) 모체의 체격 - 체격이 큰 산모에게서 빈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영양에 관계된다고 봅니다.
(5) 뇌하수체 성선자극 호르몬이 증가할 때 빈도 증가합니다.
(6) 불임 치료 - 배란을 유도하는 경우 과배란이 유발되며, 따라서 쌍태 임신의 빈도가 증가됩니다. 이 경우에는 일란성 및 이란성 쌍태임신 모두가 증가합니다.
쌍태아의 성이 다를 때는 거의 항상 이란성이며, 일란성인 경우는 거의 항상 같은 성을 보입니다
단태 임신에 비해 모체의 신체적 변화가 더 크며, 가령 모체의 혈액증가량이 단태 임신에서는 임신전보다 40~50%많으나, 다태임신에서는 50~60%많습니다. 즉 임신 말이 되면 단태 임신보다 약 500 ml정도 더 많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의 철 요구량이 더욱 증가하여, 철 결핍빈혈의 빈도가 높습니다. 질식분만시의 출혈량도 단태 임신에서는 약 500 ml정도이나 쌍태 임신에서는 약 935 ml 정도가 됩니다. 양수량이 과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산모는 호흡곤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심한 양수과다의 경우에는 양수천자를 통하여 양수를 빼줌으로써 증상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1) 유산 : 자연유산이 더욱 흔하며, 일란성 다태임신에서 더 흔합니다.
(2) 기형 : 기형의 발생률이 증가하여 쌍태 임신에서는 약 2%에서 기형을 보입니다.
(3) 출생체중 : 자궁내 발육부전 및 조산에 의한 저출생 체중의 빈도가 높습니다. 단태 임신과 비교하여 28주~30주 까지는 평행하게 나아가나 그 이후에는 쌍태 임신에서 체중이 작아지며, 34주 이후가 되면 단태 임신과 비교하여 체중이 판이하게 차이가 납니다.
(4) 출생주수 : 쌍태 임신의 약 반수가 36주 혹은 그 이전에 분만되며, 세 쌍둥이의 경우는 반 이상에서 32주 이전에 분만됩니다.
(5) 미숙아 : 쌍태아에서는 단순히 조산이 빈도가 높기 때문에 미숙아 발생이 많은 것이지, 쌍태아이기 때문에 초자양막증(폐성숙 부전), 뇌실내 출혈, 괴사성 장염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6) 지연임신: 단태 임신에서는 42주가 지나면 지연 임신이나, 쌍태 임신의 경우는 평균 분만 주수가 36주이며, 39주(혹은 40주)가 지나면 지연 임신이라고 간주합니다.
1. 단일양막성 쌍태아
한 양막 내에 쌍태아가 같이 공존함으로 해서 탯줄 엉킴에 의한 자궁 내 사망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결합쌍태아
‘샴 쌍둥이’로 알려져 있는 결합 쌍태아는 수정된 지 약 13일 이후에 수정란이 분할되면 신체의 일부가 붙은 쌍태아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경우는흉부가 유착된 경우입니다. 빈도는 6만 출생 당 1명 꼴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심장없는 쌍태아
일란성 쌍태아에서 태반 내에서 두 태아의 중요 혈관이 연결되면, 한 쪽 태아에서 다른 쪽 태아로 동맥을 통해 피가 공급되게 되고, 공급받는 쪽의 태아에서 심장의 발생이 없을 수 있으며 매우 치명적인 경우입니다.
4. 태아간 수혈 증후군
한쪽 쌍태아에서 다른 쌍태아로 피가 수혈되는 경우로서 공혈자(피를 주는 쪽)는 만성자궁 내 영양실조에 빠질 수 있으며, 수혈자(피를 받는 쪽)는 고혈압, 심장비대 등을 보일 수 있습니다.
5. 불균형 쌍태아
체중의 차이가 25%이상일 때이며, 주산기 사망률이 증가합니다.